▲사진=AFP, 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을 추모하려는 전 세계 신자들의 발길이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에 이어지고 있다. 조문이 시작된 지 이틀 만에 9만 명이 넘는 인파가 교황의 마지막 모습을 보기 위해 성전을 찾았다고 교황청이 24일(현지시간) 밝혔다.
예상을 뛰어넘는 인파가 몰리자 교황청은 조문 첫날 조문 가능 시간을 자정에서 다음 날 새벽 5시 30분까지로 연장했다. 밤새 이어진 조문 행렬은 약 90분간 청소를 위해 잠시 중단됐고, 이후 오전 7시부터 다시 재개됐다.
조문 이틀째인 이날도 성 베드로 대성전과 광장에는 교황에게 마지막 인사를 전하려는 조문객들로 긴 줄이 이어졌다. 늦은 밤부터 새벽까지 이어지는 고된 대기에도 이들은 묵묵히 자리를 지켰다.
멕시코에서 온 조문객 에밀리아노 페르난데즈는 “얼마나 오래 기다리든 상관없다”며 “프란치스코 교황의 삶을 얼마나 존경했는지를 보여줄 기회”라고 말했다.
미국 뉴저지주에서 아내와 함께 조문에 나선 리처드 램은 3시간 30분 넘게 기다렸다며, “기다리는 시간 자체가 경건하고 숭고한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전 세계에서 온 조문객들과 함께 걷는 이 행렬이야말로 교황이 남긴 유산을 보여주는 상징 같았다”고 전했다.
교황청은 조문 첫날부터 이틀째인 이날 오후 7시까지 누적 조문객 수가 9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일반 조문은 25일 오후 7시까지 사흘간 진행될 예정이지만, 현장 상황에 따라 연장될 가능성도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미사는 26일 오전, 성 베드로 광장 야외 제단에서 집전된다. 이후 교황의 유해는 생전 그가 마지막 안식처로 지정한 로마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으로 옮겨질 예정이다.
이날 교황청은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내 교황의 무덤이 마련된 공간을 공개했다. 대성전 벽면 안쪽으로 움푹 들어간 이 공간은 과거 촛대 받침 등을 보관하던 장소로, 프란치스코 교황이 직접 자신의 무덤으로 선택한 곳이다. 관이 놓일 흰 대리석 받침에는 ‘프란치스쿠스(Franciscus)’라는 라틴어 이름만이 간결하게 새겨졌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러시아 점령지에 잠입해 고문과 불법 구금 실태를 취재해 온 우크라이나 기자, 빅토리야 로시나(27)가 극심한 고문 끝에 사망한 뒤 장기 일부가 적출된 상태로 시신이 송환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로시나는 러시아 점령지의 비공식 구금 시설을 잠입 취재하던 중 실종됐고, 1년여 만에 심각하게 훼손된 시신으로 돌아왔다. 이 사실은 미국 워싱턴포스트, 영국 가디언, 우크라이나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 등 서방 주요 언론이 4월 29일(현지시간) 공동
29일 오후 1시경 완진됐던 대구 함지산 산불이 하루 만에 재차 불씨가 살아나 부분 재발화를 반복하고 있다. 산림 당국에 따르면 함지산 산불은 완진 6시간만인 오후 7시 30분경 백련사 인근 7부 능선에서 재발화가 감지됐다. 이후 30일 오전까지 북·동쪽 방면 5개 구역에서 불씨가 살아나자, 당국은 일출과 동시에 헬기 16대, 인력 197명, 진화차 14대 등을 긴급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였다. 진화 작업은 오전 중 대부분 완료됐지만, 오후 들어 순간최대풍
젊은 여성을 주요 타깃으로 삼은 한 화장품 브랜드의 광고 이미지가 약물 중독과 죽음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논란에 휩싸였다. 브랜드 측은 사과문을 발표하고 일부 이미지를 삭제했지만, 여전히 다른 문제의 이미지들이 남아 있어 소비자들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문제가 된 광고는 이달 중순 출시된 비타민C 제품으로, 바닥에 알약이 흩어진 채 여성 모델이 엎드려 있는 모습이 약물 과다복용이나 시체를 연상시킨다는 지적을 받았다. 일부 누리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