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 Yeh~! 메디컬 인문학> 썸네일 '환자 안 보는 의사' 예병일 교수가 유튜브를 통해 새로운 시리즈 <닥터 Yeh~! 메디컬 인문학>을 선보였다. 환자를 진료하기보다는 연구하고 가르치는 일이 더 좋았다는 의학교육학자 예병일 교수는 이번 콘텐츠를 통해 의학과 인문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풀어냈다.
첫 번째 에피소드 주제는 인류를 구원한 최초의 백신, 종두법이다.
예병일 교수는 두창(천연두)이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감염병 중 하나였음을 소개하며 이야기를 시작한다. 고대 이집트 유물에서도 그 흔적이 발견될 정도로 오래된 병이었고, 생존자들에게는 얼굴에 흉터를 남기는 사회적 낙인이 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이름조차 부르기 어려워 '마마'라고 부르기도 했다.
▲에드워드 제너 Edward Jenner (1749~1823) 이 질병에 맞서 인류를 구한 인물이 바로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다. 제너는 런던의 엘리트 의학계가 아닌 영국 시골 마을 버클리에서 활동하던 평범한 개업의사였다. 당시 주류 의학계와는 다른 환경 속에서, 그는 지역 주민들의 삶과 밀착된 관찰을 통해 천연두 예방의 실마리를 찾았다.
예 교수는 제너를 설명하며 이렇게 덧붙인다. "인류 역사에서 가장 훌륭한 의사 10명을 뽑아본다면, 선정 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그 10명을 나열하고 '누가 성격이 좋을까?'를 생각해보면, 아마 거의 없을 겁니다. 대개는 직선적이고, 모가 나 있고, 남이 말려도 밀어붙이는 사람들이죠. 그런데 누가 뭐래도 10명 안에 확실히 들어갈 의사, 에드워드 제너는 그중에서도 드물게 성격이 좋고 훌륭한 사람이었습니다."
1796년, 제너는 8세 소년 제임스 핍스에게 우두(소 천연두) 접종 실험을 진행했고, 이는 세계 최초의 백신 탄생으로 이어졌다.
또한 영상에서는 백신(vaccine)이라는 단어가 라틴어 '암소(vacca)'에서 유래했음을 설명하며, 초기 종두법이 영국 사회 내에서 환영만 받았던 것은 아니라는 점도 함께 짚었다.
<닥터 Yeh~! 메디컬 인문학>은 단순한 과학적 사실을 넘어, 의학이 인간의 삶과 어떻게 맞닿아 발전해왔는지를 보여주려는 시도다. 예 교수는 앞으로 다양한 의학 이야기를 인문학적 시선으로 풀어낼 계획이다.
▲ 인류최초의 백신 개발에 대한 비하인드 스토리 = [활인TV]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젊은 여성을 주요 타깃으로 삼은 한 화장품 브랜드의 광고 이미지가 약물 중독과 죽음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논란에 휩싸였다. 브랜드 측은 사과문을 발표하고 일부 이미지를 삭제했지만, 여전히 다른 문제의 이미지들이 남아 있어 소비자들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문제가 된 광고는 이달 중순 출시된 비타민C 제품으로, 바닥에 알약이 흩어진 채 여성 모델이 엎드려 있는 모습이 약물 과다복용이나 시체를 연상시킨다는 지적을 받았다. 일부 누리
중국 장가계는 한때 ‘국민 패키지 여행지’로 불릴 만큼 많은 한국 관광객의 발길이 이어졌던 곳이다. 그러나 최근 유튜버 ‘레리꼬’가 장가계 패키지여행 중 겪은 가이드의 폭언과 감시, 협박 상황을 고스란히 공개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레리꼬는 ‘참좋은여행사’와 ‘모두투어’를 통해 29만9,000원짜리 장가계 패키지여행 상품을 예약했다. 하지만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이상한 분위기를 감지했다고 한다. 그는 “
서울 시내버스 노사 간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이 최종 결렬되면서 30일 새벽부터 버스 노조가 준법투쟁에 돌입했다. 총파업은 피했지만, 출근길 배차 지연과 운행 혼잡이 현실화되고 있다. 서울시버스노동조합과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29일 오후 5시부터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마라톤 협상을 벌였으나, 30일 오전 2시께 협상이 최종 결렬됐다. 핵심 쟁점은 통상임금의 범위와 기본급 인상 여부였다. 노조는 대법원 판례에 따라 정기 상여금을 통상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