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러 200번 독사에 물린 남자, ‘만능 해독제’ 희망 열다

이한나 기자 2025-05-04 10:58:29
▲맹독을 지닌 독사 (출처=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맹독성 뱀에 200차례나 일부러 물리고, 700회 넘게 뱀독을 몸에 주입한 한 남성의 피가 ‘범용 해독제’ 개발의 실마리가 되고 있다. 주인공은 미국 일리노이 출신의 전직 트럭 정비사 팀 프리드(57). 그는 지난 18년 동안 자신의 몸을 실험대 삼아 코브라, 블랙맘바, 타이판 등 치명적인 독사에게 물리며 수차례 생사의 고비를 넘겼다. 초창기엔 코브라 두 마리에게 잇따라 물려 혼수상태에 빠졌지만, 치료제 개발에 보탬이 되고 싶다는 일념으로 ‘극한의 자가실험’을 이어갔다.

프리드의 피에 주목한 인물은 미국 생명공학 기업 센티백스(Centivax)의 제이컵 글랜빌 CEO였다. 글랜빌 박사는 “종마다 성분이 다른 뱀독에 모두 대응할 수는 없지만, 모든 독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부분을 겨냥하면 광범위하게 작용하는 해독제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센티백스 연구진은 프리드의 혈액에서 항체를 추출해 세계보건기구(WHO)가 ‘가장 치명적’으로 분류한 엘라피드 계열 독사 19종을 대상으로 동물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13종에서는 완전한 해독 효과가, 나머지 6종에서는 부분적인 중화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진은 '전례 없는 효과'라며 고무적인 반응을 보였다.

전 세계적으로 독사에 물려 목숨을 잃는 사람은 연간 14만 명에 달하며, 팔이나 다리 절단 등 후유증을 겪는 사람도 40만 명이 넘는다. 특히 열대 및 개발도상국에서는 치료제를 제때 구하지 못해 고통받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프리드는 “인류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할 수 있어 자랑스럽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셀(Cell)에 발표됐으며, 상용화까지는 추가적인 임상시험과 안전성 검증이 필요한 단계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647년 만에 고향 찾은 고려 불상…10일 다시 일본으로

647년 만에 고향 찾은 고려 불상…10일 다시 일본으로
647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온 고려 금동관세음보살좌상이 부처님오신날인 5일, 충남 서산 부석사에서의 마지막 친견법회를 끝으로 다시 일본으로 돌아간다. 불상은 오는 10일 오전 열릴 송불의식을 마친 뒤 일본 쓰시마섬의 간논지(觀音寺)에 인계될 예정이다. 부석사에 따르면 지난 1월 25일부터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진행된 친견법회에는 전국 각지에서 약 4만 명이 다녀갔다. 정부의 문화재 환수 노력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에는 1만5천여 명이

94세 ‘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 올해 말 은퇴 선언

94세 ‘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 올해 말 은퇴 선언
1930년 8월 30일생, '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94)이 자신이 이끈 버크셔 해서웨이의 경영 일선에서 올해 말 물러난다. 60년 가까이 전 세계 투자자들의 교본이 된 그의 시대가 공식적으로 막을 내린다. 후계자는 그가 직접 발탁한 그레그 에이블 버크셔 비(非)보험 부문 부회장이다. 버핏은 3일(현지시간)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린 제60회 버크셔 해서웨이 연례 주주총회에서 “이제 아벨이 최고경영자가 되어야 할 때”라며 은퇴 계획을 공식 선언

“내가 교황 되고 싶다”던 트럼프, 교황 복장 AI 이미지 직접 올려 논란

“내가 교황 되고 싶다”던 트럼프, 교황 복장 AI 이미지 직접 올려 논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교황 복장을 한 자신의 합성 이미지를 직접 소셜미디어에 게재해 논란이 일고 있다. 얼마 전 "차기 교황이 되고 싶다"는 발언을 한 데 이어, 교황 선출을 앞둔 시점에 공개된 이미지여서 더욱 눈길을 끌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밤,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realDonaldTrump)에 아무 설명 없이 한 장의 이미지를 올렸다. 사진 속 그는 가톨릭 수장이 착용하는 흰색 제의와 금색 십자가 목걸이, 주교관을 착용한 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