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부과한 고율 관세와 관련해 실질적인 시장 개방이 없으면 관세 철회는 없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 참석을 위해 이탈리아 로마로 향하는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이 실질적인 양보를 하지 않으면 관세를 철회하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이 시장을 개방하고 미국 기업들이 자유롭게 진입해 일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우리의 요구"라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솔직히 우리는 거의 합의에 도달했었지만, 중국 측이 막판에 물러나 합의가 성사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1기 집권 당시인 2018년부터 중국과 벌인 관세 전쟁과, 2020년 초 체결된 '미중 1단계 무역 합의'가 결국 실질적인 성과 없이 흐지부지된 점에 대해 재차 불만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중국 외 다른 국가와의 관세 협상, 합리적으로 마무리할 것"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외 다른 무역 파트너들과의 관세 협상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협상도 하고 결국 합의도 이뤄낼 것"이라며 "우리가 설정하게 될 관세는 매우 합리적일 것이며, 이는 협상의 마지막 단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지난 9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효했다가 금융시장이 급락하자, 13시간 만에 중국을 제외한 70여 개국에 대해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들어 중국과의 관세 대립이 치열해지면서 중국에 대한 관세 하향 조정 가능성을 잇달아 시사하기도 했다.
"금융시장, 관세 정책 과도기 이해하기 시작" 트럼프 대통령은 금융시장이 자신의 관세 정책에 제대로 적응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나는 처음부터 과도기가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었다"며 "처음에는 시장이 이를 이해하지 못했지만, 이제는 점점 이해하기 시작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강경한 관세 정책으로 뉴욕 증시와 채권 시장이 급락하자 여러 차례 시장을 진정시키기 위한 유화적 발언을 내놓기도 했다.
우크라이나 희토류 협정 서명 지연 지적…"조속한 마무리 촉구"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로마로 이동 중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게시글을 올려,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희토류 협정 서명이 지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정부가 매우 중요한 희토류 협정 최종 문서에 아직 서명하지 않았다"며 "서명이 최소 3주 이상 지체됐다"고 말했다. 이어 "하루빨리 서명이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강조하면서, 동시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포괄적 평화 협정 작업 역시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러시아 점령지에 잠입해 고문과 불법 구금 실태를 취재해 온 우크라이나 기자, 빅토리야 로시나(27)가 극심한 고문 끝에 사망한 뒤 장기 일부가 적출된 상태로 시신이 송환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로시나는 러시아 점령지의 비공식 구금 시설을 잠입 취재하던 중 실종됐고, 1년여 만에 심각하게 훼손된 시신으로 돌아왔다. 이 사실은 미국 워싱턴포스트, 영국 가디언, 우크라이나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 등 서방 주요 언론이 4월 29일(현지시간) 공동
29일 오후 1시경 완진됐던 대구 함지산 산불이 하루 만에 재차 불씨가 살아나 부분 재발화를 반복하고 있다. 산림 당국에 따르면 함지산 산불은 완진 6시간만인 오후 7시 30분경 백련사 인근 7부 능선에서 재발화가 감지됐다. 이후 30일 오전까지 북·동쪽 방면 5개 구역에서 불씨가 살아나자, 당국은 일출과 동시에 헬기 16대, 인력 197명, 진화차 14대 등을 긴급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였다. 진화 작업은 오전 중 대부분 완료됐지만, 오후 들어 순간최대풍
젊은 여성을 주요 타깃으로 삼은 한 화장품 브랜드의 광고 이미지가 약물 중독과 죽음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논란에 휩싸였다. 브랜드 측은 사과문을 발표하고 일부 이미지를 삭제했지만, 여전히 다른 문제의 이미지들이 남아 있어 소비자들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문제가 된 광고는 이달 중순 출시된 비타민C 제품으로, 바닥에 알약이 흩어진 채 여성 모델이 엎드려 있는 모습이 약물 과다복용이나 시체를 연상시킨다는 지적을 받았다. 일부 누리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