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러시아에 대한 군 파병 사실을 공식 인정하며 이를 북러 간 전략적 동맹 조약 이행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28일 보도에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가 전날 노동신문 등을 통해 서면 입장문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입장문에 따르면 북한은 "러시아 연방에 대한 우크라이나 당국의 모험적인 무력 침공을 격퇴하기 위한 쿠르스크 지역 해방작전이 승리적으로 종결됐다"며 북한군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명령에 따라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 전선에 참전했다고 밝혔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북한은 이번 파병이 지난해 6월 김정은 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서명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제4조에 따른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당 조항은 양국 중 한 나라가 무력 침공을 받을 경우, 다른 쪽이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북한은 특히 파병된 군인들을 "조국의 명예 대표자들"이라고 치켜세우며, "수도에는 곧 전투 위훈비가 건립되고, 희생된 군인들을 위한 묘비 앞에는 조국과 인민의 꽃송이가 놓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파병 과정에서 상당한 북한군 사상자가 발생했음을 우회적으로 인정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화상회의에서 "북한 군인과 장교들이 우크라이나 공격을 격퇴하는 전투 임무를 수행했다"고 밝히며 북한군 파병을 먼저 공식화한 바 있다.
북한은 이번 참전을 통해 러시아 영토 수호에 기여했음을 부각하고 있으며, 파병을 북러 조약 이행이라는 명분으로 정당화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첨단 군사 기술 등의 반대급부를 확보할 가능성, 그리고 국제적 고립을 타개하려는 전략적 계산이 깔려 있다고 분석했다.
통일부는 이에 대해 "북한군 파병은 국제 규범을 어긴 불법적 행위이며, 젊은이를 정권 안위를 위해 희생시키는 반인권적이고 비윤리적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번 공식 인정으로 인해 다음 달 9일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러시아 전승절 행사에 김정은 위원장이 참석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다만 김 위원장이 대규모 다자 외교 무대에 직접 나서는 대신 별도의 북러 정상회담 형식으로 외교전을 이어갈 가능성도 제기된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러시아 점령지에 잠입해 고문과 불법 구금 실태를 취재해 온 우크라이나 기자, 빅토리야 로시나(27)가 극심한 고문 끝에 사망한 뒤 장기 일부가 적출된 상태로 시신이 송환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로시나는 러시아 점령지의 비공식 구금 시설을 잠입 취재하던 중 실종됐고, 1년여 만에 심각하게 훼손된 시신으로 돌아왔다. 이 사실은 미국 워싱턴포스트, 영국 가디언, 우크라이나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 등 서방 주요 언론이 4월 29일(현지시간) 공동
29일 오후 1시경 완진됐던 대구 함지산 산불이 하루 만에 재차 불씨가 살아나 부분 재발화를 반복하고 있다. 산림 당국에 따르면 함지산 산불은 완진 6시간만인 오후 7시 30분경 백련사 인근 7부 능선에서 재발화가 감지됐다. 이후 30일 오전까지 북·동쪽 방면 5개 구역에서 불씨가 살아나자, 당국은 일출과 동시에 헬기 16대, 인력 197명, 진화차 14대 등을 긴급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였다. 진화 작업은 오전 중 대부분 완료됐지만, 오후 들어 순간최대풍
젊은 여성을 주요 타깃으로 삼은 한 화장품 브랜드의 광고 이미지가 약물 중독과 죽음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논란에 휩싸였다. 브랜드 측은 사과문을 발표하고 일부 이미지를 삭제했지만, 여전히 다른 문제의 이미지들이 남아 있어 소비자들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문제가 된 광고는 이달 중순 출시된 비타민C 제품으로, 바닥에 알약이 흩어진 채 여성 모델이 엎드려 있는 모습이 약물 과다복용이나 시체를 연상시킨다는 지적을 받았다. 일부 누리
댓글
(0) 로그아웃